본문 바로가기

금속의 특성과 이용 ■ 금속이란?? 고체로 되었을때 광택이 있고 전기 및 열을 전달할 수 있고 판처럼 얇게 필수 있는 물질을 말합니다. ■ 금속의 특성 1.대부분 강도와 경도가 크며 연성과 전성이 좋다. 강도-강한 정도 경도-단단한 정도 연성-길게 늘어나는 성질(유연성) 전성-넓게 펴지는 성질 2.열과 전기를 잘 전달하며 고유한 색과 광택을 가지고 있습니다. ■ 금속의 종류 금속은 크게 철금속-철을 주성분으로 한 금속 비철금속-철 금속 이외의 금속원소로 나누어집니다. 철금속은-순철,탄소강,주철로 나누어 집니다. 순철은 말그대로 순수한 철로 탄소가 거의 없는 철로 재질이 연하고 순수한 철입니다(전기 재료, 시험용 재료등) 탄소강은 탄소가 조금 들어 있는 철로 열처리를 하면 성질이 바뀝니다. (기계 부품,철도 레일,볼트,너트 .. 더보기
목재의 특성과 이용 ■ 목재란? 목재는 건축이나 가구등을 만들때 쓰이는 재료입니다. 주변에서 구하기 쉬어 오래 전부터 사용되었습니다. 따뜻한 느낌도 들고 무늬가 아름답고 가공하기 쉽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열과 전기를 잘 전달하지 않고 불타기 쉬우며 썩기도 쉽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 목재의 이용 목재는 원목의 경우 재질이 고르지 못하고 변형이 쉬워서 이러한 단점을 보안하기 위하여 가공재로 만들어 이용을 합니다. ■ 가공재의 종류 1.합판- 원목을 넓고 얇은 판으로 만든 후각 판의 나뭇결 방향이 서로 직각이 되도록 겹쳐서 만든다 -재질이 균일하고 수축에 의한 변형이 작다. -책상,의자,가구,건축재료 등에 이용된다. 2.집성재-목재의 나뭇결이 방향이 평행하도록 나란하게 모아 접착제로 붙여서 만든다. -뒤틀림,갈라짐이.. 더보기
조선시대 신분제도 알아보기 오늘은 조선시대 신분제도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조선시대의 신분제는 양천제!!! 입니다. 양인과 천인으로 나누어 지는데요. 양인은 다시 양반, 중인, 평민으로 다시 나누어 집니다. 양반은 문반과 무반을 합쳐서 양반이라고 불립니다. 지배층세력이고 주로 과거시험을 봐 관직에 진출하였습니다. 다음으로 중인 중인은 전문직에 종사하는 의사,법률관,통역관입니다. 중인또한 지배층입니다. 그리고 조선시대의 핵심이였던 평민!! 세금도 내고 농사도 짓고 조선을 이끌었던 주된 신분입니다. 평민도 피지배층입니다. 마지막으로 천민 천민은 공노비와 사노비로 나누어 집니다. 공노비는 나라에서 일하는 노비입니다. 사노비는 개인인적인 사람의 노비로 주인의 집에서 일하는 솔거노비와 주인과 다른집에서 사는 외거노비로 나누어.. 더보기